변수와 자료형
data란?
사실을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기온, 습도, 날씨, 문자, 문자열 등등 각각의 수치들이 데이터가 됩니다.
컴퓨터의 자료 표현 방식
컴퓨터는 0과 1로만 데이터를 저장함
bit(1비트) : 컴퓨터가 표현하는 데이터의 최소 단위로 2진수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크기
byte(바이트) : 1byte = 8bit

변수(Variable)란?
● 값(Value)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공간을 의미합니다.
●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변수는 말 그대로 '변하는 수' 입니다.
변수는 언제 쓰나요?
● 프로그램에서는 항상 변하는 값을 나타낼 필요가 있음
( ex. 학생의 성적, 합계, 게임의 레벨, 회원 주소 등등...)
● 표현하려는 수에 맞는 데이타 타입(자료형)을 이용하여 변수를 선언
이클립스 단축키
sysout -> 는 출력하는항목의 힌트 자동완성
ctrl + alt + 방향키 아래로 -> 복사
자바 변수 예제
3개의 변수 선언하고 출력하기

결과값

여기서 꿀팁!
ctrl + Shift + f 는 코딩규칙 정렬
변수의 규칙
1 대소문자 구분이 확실하다 변수의 이름의 길이는 상관이 없다
Name,name 다른걸로 인식된다
2 자바에서 사용하는 예약어는 변수로 사용하지못함
while, break, for, if
3 숫자로 시작하면안된다
4 특수문자는 _, $ 만 사용가능
자료형(data type)
변수를 선언하면 해당되는 자료형의 크기 만큼 메모리가 할당
변수는 할당된 메모리를 가리키는 이름 int level = 10;
// 4바이트 정수형 메모리가 level 이라는 이름으로 할당 됨
변수에 종류는 크게 2가지
1, 기본데이터 타입
2, 참조 타입

정수형
byte:1바이트
short:2바이트
int:4바이트
long:8바이트 <- 사용시 변수쪽뒤에 L 붙여야함
문자형

결과값

실수형

논리형

출력값

기본자료형 변수 8가지의 예제문제

2번 문제는 long 변수를 사용하여 접미사 l을 붙여야됨 int 변수는 21억이끝(int :기본값)
4번 문제는 기본값이(double)이므로 float를 사용시 접미사 f를 붙여야함
기본으로 첫날배운 내용을 보지않고 이해를 하면서
함수적용 출력 메모 하고 한번더 출력과 만드는방법과
복습을 해봄

오늘 배운 내용의 모음의 결과값

혼자 작성해본 배웠던 함수 코드 모음!

'자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터럴(literal) (0) | 2023.02.13 |
---|---|
상수(constant) 선언하기 (0) | 2023.02.13 |
컴파일 시점 VS 런타임 시점 (0) | 2023.02.10 |
JDK,이클립스 설치 (0) | 2023.02.10 |
자바 프로그래밍 특징 (0) | 2023.02.10 |